정안뉴스 황정혜 기자 | 부산시 농업기술센터는 부산 쌀 특화 품종으로 육성 중인 '황금예찬' 품종 재배면적을 기존 20헥타르(ha)에서 93헥타르(ha)로 확대해 재배단지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부산의 지역특화 품종으로 육성 중인 '황금예찬'은 지난해(2024년) 3월 품종명이 최종 등록됐으며, 저아밀로스 함량의 반찹쌀(멥쌀과 찹쌀의 중간 계통) 품종으로 찰기가 우수하고 밥맛이 좋아 부산 벼 대표 품종으로 경쟁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센터는 그간 외래품종 대체와 부산 벼 특화 품종 육성을 위해 2022년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에서 육종 중인 ‘황금예찬’(당시 밀양 387호) 품종을 선제적으로 도입한 바 있다. 이후 지역 적응 실증 시험 재배를 거쳐 현재까지 부산 최초의 지역 특화 품종 재배단지로 20헥타르(ha)를 조성했다.
센터는 '2025년도 벼 수요자 참여 개발품종 조기확산 시범사업'을 통해 ▲'황금예찬' 재배면적 93헥타르(ha) 확대 외에도 ▲품종의 안정 생산기술 보급 ▲다양한 홍보 활동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인증 확대 등 지역 농가의 소득 증대를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품종의 안정 생산기술 보급을 위해 지난 3월 21일 ‘황금예찬’ 품종 ▲재배 특성 ▲적기 비료 사용 ▲수확 후 관리 기술에 대한 교육을 추진했으며, 향후 ▲병해충 방제 ▲물관리 기술 교육 등도 진행할 계획이다.
다양한 홍보 활동의 하나로, ▲제20회 부산도시농업박람회(4.3.~4.6.) 부산농업인대회(하반기 개최예정) 등 대형 행사 개최 시 홍보 활동 ▲강서구청, 학교 급식 관계자 회의를 통한 급식 확대 방안 등 ‘황금예찬’의 우수성을 알리는 활동도 진행한다.
그 밖에도 ▲소비자가 고품질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생산과정부터 유통과정까지 관리하는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인증 확대 ▲‘황금예찬’ 재배단지에서 생산물 전량 계약 재배 방식* 진행 등 지역 특화 품종의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 전량 계약 재배 방식: 수확된 벼의 전량 출하 약정 후 재배하는 방식으로, 농가의 소득 안정화에 기여
한편, 부산의 이앙 작업은 5월 상순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지역특화 품종인 '황금예찬'은 5월 20일경부터 이앙 작업이 시작되어 고품질 쌀 생산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벼 이앙 작업은 일반적으로 모내기로 알려져 있으며, 부산에서는 4월 하순부터 종자 파종*과 육묘 작업**을 시작해 5월 상순부터 6월 상순까지 논에 이앙(모내기)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 종자 파종: 씨앗 뿌리기 ** 육묘 작업: 묘종 키우기 작업
유미복 시 농업기술센터소장은 “소비자 참여 개발 품종 조기 확산 시범사업을 통해서 밥맛이 우수한 고품질 지역특화 쌀 재배단지를 조성해 지역 쌀소비를 확대하고 지역별 쌀 브랜드화에 노력하고 있다”라며, “부산에서 생산되는 특화 품종의 상품화와 우리 부산 쌀농가를 위해 시민들의 '황금예찬'에 대한 많은 관심과 소비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