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고인쇄박물관은 지난 25일 박물관 세미나실에서 한국서지학회 202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를 개최했다. 한국서지학회는 고문헌의 서지학 분야를 연구하는 대학교수와 일반 연구자로 구성된 전문 학술연구단체다. 이날 학술대회에는 대학교수와 대학원생 등 연구자 50여명이 참석해 연구발표와 열띤 토론을 펼쳤다. 부산대 이상백 교수의 ‘무신자의 초기 이용과 조선왕실 편입 시기에 관한 재고찰’ 발표를 시작으로, 제주4‧3평화재단 김대경의 ‘『주요도서간행목록』을 통해 본 일제강점기 조선통독부 출판 활동 고찰’ 연구발표로 1부를 열었다. 이어서 2부에서는 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안휘섭의 ‘고려시대 『무의자시집』 목판에 관한 서지적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홍원태의 ‘출판디자인적 관점에서 바라본 『천자문』의 형태서지와 변화양상’의 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안휘섭은 1377년 『직지』를 간행한 청주 ‘흥덕사’가 판각돼 있는 고려시대 목판 『무의자시집』을 소개해 큰 주목을 받았다. 『무의자시집』은 고려시대 수선사(修禪寺)의 2대 사주 혜심(慧諶, 1178~1234)의 시문을 수록한 문집이다. 선종의 청주 유행은 1377년 흥덕사의 『직지』 간행과 깊은 관련이 있는 바, 『무의자시집』
2025년 4월 20일, 중국 하남성 안양시 안양문화관에서 한·중 동아시아 문화 교류 전시가 개막했다. 이 전시는 완판본문화관(관장 안준영)과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소장 하영삼)가 공동 추진한 <갑골문 천자문 프로젝트>의 해외 전시로 제9회 화하한자절(華夏漢字節) 공식 행사에 초청되어 5월 5일까지 이어진다. 전시가 열리는 중국 안양은 갑골문이 처음 출토된 역사적 장소로, 문자 문화의 발원지로 평가된다. 이러한 곳에서 한국 전통 목판 인쇄술과 한지 문화, 그리고 시민들이 직접 새긴 천자문이 함께 소개되는 이번 전시의 상징적 의미는 더욱 깊다. <갑골문 천자문 프로젝트>는 문자 유산인 갑골문을 한국의 전통 목판 인쇄 방식으로 복원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문화 창작 프로젝트이다. 특히 호남과 영남 지역의 시민 24명이 직접 참여해 새긴 천자문 목판은 많은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한국 전통 기술로 되살아난 갑골문 천자문은, 문자와 시간, 국경을 넘어선 ‘순환’과 ‘재탄생’의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시민의 손길을 거쳐 탄생한 목판 문자들은 지역에서 시작해 국경을 넘어 세계로 향하는 문화의 여정을 열어가고 있다.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는 북디자이너이자 각수(刻手) 홍원태 씨는 오늘날 보기 드문 전통판각 기능인이다. 단순히 작업자로서의 정체성을 넘어, 고문헌을 연구하는 학문적 시선을 바탕으로 전통을 해석하고 재현하며, 현대 사회에 그것을 녹여내고자 하는 실천적 연구자다. “저는 북디자인을 전공했고, 현재는 고문헌 관리와 이산책판박물관(단체명 : 대장경문화학교) 전통판각 전문가 과정에 참여하여 전통 판각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작업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나무를 깎는 일을 시작했는데, 어느덧 그 안에서 삶의 본질적인 위로와 성찰을 얻게 되었죠.” 그는 '각수'라는 호칭에 담긴 무게를 무겁게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전통이라는 개념을 ‘특별한 무엇’으로 여기지 않는 데에서부터 시작한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전통은 결코 고리타분하거나 동떨어진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늘 현실의 일부였고, 지금도 우리 삶 깊숙이 스며 있는 겁니다.” 그의 말처럼, 그는 과거의 기술과 미감을 단순히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이 오늘날의 감각과 호흡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고민한다. 디자인이라는 현대적 언어와 전통 판각이라는 고유한 방식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그의 노력은,
음성군은 충청북도 지정문화유산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동의보감 초간본’의 보존처리 계획 검토를 위해 14일 한독의약박물관에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동의보감’은 선조 29년(1596) 왕명에 따라 허준(許浚, 1539~1615)이 편찬을 시작해, 광해군 2년(1610)에 25권 25책으로 완성한 의서이다. 내경편(內景篇) 권2, 외형편(外形篇) 권1, 잡병편(雜病篇), 침구편(鍼灸篇), 탕액편(湯液篇)으로 구성돼 근세 서양의학의 분과가 거의 망라돼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동의보감’ 초간본은 故 김두종(金斗鐘) 박사가 기증한 것으로, 내경편(內景篇) 권2, 외형편(外形篇) 권1, 침구편(鍼灸篇) 등 3권 3책이다. 비록 완질본은 아니지만 조선시대 중기의 목판인쇄 문화는 물론 한의학 및 서지학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날 자문회의에서는 자문위원과 소장처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유산 원형 보존을 위해 과학적 보존진단을 기반한 적절한 보존처리 계획이 수립됐는지를 점검하고 향후 보존처리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 군은 향후 충청북도(문화유산과)의 승인을 득한 후 수립된 계획에
천년의 세월을 넘어 전해 내려오는 소중한 불교문화유산, 팔만대장경의 복각을 위한 전통각법 교육이 해인사 장경도감에서 진행된다. 이번 교육과정은 소중한 전통 기술을 계승하고, 판각이 가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통각법 교육은 불교 경전 판각에 대한 실기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팔만대장경 복각에 참여한 다수의 전문가들이 지도강사로 나선다. 교육은 토요일반과 일요일반으로 각각 40명씩 선착순 모집하며, 교육비는 전액 무료다. 교육 개요는 다음과 같다. 1)교육명 : 팔만대장경 복각을 위한 전통각법 교육 2)교육내용 : 전통각법 실기 교육 및 이론 3)수강인원 : 토요반 40명 / 일요반 40명 4)접수기간 : 2025년 3월 17일(월)부터 선착순 5)지도강사 : 팔만대장경 복각 경력 보유 전문가 6)교육장소 : 해인사 장경도감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3길 8) 7)교육대상 : 불교 신심을 가진 재가자(일반인, 남녀 불문, 연령 제한 없음) 8)교육비 : 무료 9)교육신청 및 문의처 - 전화 : 055-934-3000 - 이메일 : 12haeinsa@naver.com - FAX : 055-934-3010 - 주소 : (50200) 경남 합천
경상남도 합천군은 고령박씨 벽한정종중이 소장하고 있던 '영모록·박인 무민당집 목판' 152매를 기증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기증은 지역 문화유산 보호와 전승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영모록'은 17세기 초, 무민당 박인(1583~1640)이 1627년에 그의 아버지 조계 박수종(1565~1619)의 유고와 부록 문자를 정리한 책판으로, 박인 선생의 학문적 유산을 후대에 전하는 중요한 자료다. 또한, '박인 무민당집 목판'은 박인의 시가와 산문을 모은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학계에서는 이 책판이 1814년경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박인 선생은 합천 야로에서 태어난 유학자로, 평생 벼슬에 나가지 않고 남명 조식(1501~1572)의 학문을 계승하며 남명학을 발전시킨 인물로 유명하다. 그는 내종숙인 내암 정인홍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그의 학문적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번 기증을 주도한 고령박씨 벽한정종중 박천석 대표는 "무민당 선조의 뜻이 널리 전해지고, 군의 중요한 역사적 자원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며 "합천박물관에서 이 귀중한 유물을 전문적이고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려 초조대장경의 문화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그 미래적 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포럼이 2025년 3월 19일 오후 2시, 대구시안전테마파크 다목적홀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은 대구광역시 동구팔공문화원이 주최·주관하고 대구광역시 동구의 후원으로 진행되었으며, 팔공산 부인사가 지닌 역사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문화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논의하는 자리가 되었다. 포럼은 이춘희 대구팔공문화원장의 인사말로 시작되었으며, 정인숙 동구의회의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주제 발표는 (전)고려대장경연구소 이지범 소장이 맡아 고려 초조대장경의 역사적 배경과 팔공산 부인사로 옮겨진 과정, 그리고 그 문화사적 가치에 대해 심도 깊은 발표를 진행했다. 토론자로는 박진관 영남일보 중부지역본부장과 김병우 대구한의대학교 교수가 참여해 각자의 시각에서 고려 초조대장경의 의미와 활용 방안을 논의하며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포럼에서는 고려 초조대장경이 팔공산 부인사로 옮겨진 배경과 그 과정에서의 역사적 의미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고려 시대 몽골의 침입을 피하기 위해 옮겨졌던 초조대장경은 단순한 불교 경전을 넘어 당시의 문화와 지식을 집대성한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팔공산 부인사
역사서 ‘삼국사기’는 삼국시대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며 경매에 나선다. 문화예술 경매업체인 코베이옥션은 '제273회 프리미엄 온라인 경매 삶의 흔적'이 다음 달 5일에 열리며, '삼국사기 정덕본'의 일부와 이인직의 '혈의루' 재판본이 출품될 것이라고 24일 밝혔다. 삼국사기는 현재 존재하는 한국 고대사의 가장 오래된 역사서로, 김부식이 고려 인종의 명령으로 삼국시대의 역사를 편찬한 것이다. 총 50권 구성으로, 본기 28권, 지 9권, 표 3권 및 열전 10권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전해지는 삼국사기의 원본은 남아있지 않으며, 가장 초기의 판본은 13세기 후반에 간행된 목판본인 '성암본'이다. 이 외에도 중종 7년(1512)에 발행된 완질본이 있으며, 정덕 시대에 인쇄되어 '정덕본'이라고 불린다. 현재 옥산서원 및 성암본은 두 개의 완질본으로 남아있다. 옥산서원본은 1573년경에 인쇄되었고, 성암본은 정덕본 중 가장 빠른 시기에 인쇄된 것이다. 이 두 완질본 모두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이번 코베이옥션 경매에 올라가는 삼국사기는 정덕본의 일부분이다. 완질본의 총 50권 중 권 22에서 26의 내용이 하나의 책으로 묶여 있다. 코베이옥션은 "옥산서원
완판본문화관(관장 안준영) 학술사업의 다섯 번째 결과물 『별춘향전(別春香傳)』 영인본이 발간되었다. ‘춘향전’은 판소리 사설에서 고전소설로 정착한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이다. 완판본문화관은 ‘춘향전’ 계열의 유물인 『별춘향전』(29장본)과 『열여춘향수절가』(84장본)을 각각 소장하고 있다. 『별춘향전』은 19세기 중후반 전주에서 출판된 춘향전의 초기 형태이다. 제목의 접두사 ‘별(別)’의 의미는 서울 경판본과는 다른 새로운 판본, 판소리 유파의 변천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되기도 한다. 완판본문화관 소장 『별춘향전』 은 29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장의 마지막 줄에 ‘완산신간(完山新刊)’이라는 간기(刊記)가 있다. 또한 책의 장수를 표기하는 장차(張次)가 28장이 39장으로, 29장이 40장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별춘향전』 40장 본의 존재를 추정하기도 한다. 『별춘향전』 은 각 장별로 서체, 판심, 행수, 자수(字數) 등 다양한 차이가 혼재하고 있다. 따라서 4-6종의 이본(異本)이 섞여 한 권의 책으로 간행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권의 책 속에 초간본, 복각본, 보판본 등 다양한 변모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글꼴이 독특하고 전라도 방언이
한국국학진흥원은 최근 ‘경상도 전통사찰의 출판문화’라는 책을 발간하여 그동안 유교 연구에만 집중하던 기관의 연구 범위를 불교문화로 넓혔다. 이 기관에 따르면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의 사찰들은 불서 출판의 주요한 장소로, 각 사찰에서는 불경을 출판하고 책판을 제작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전한다. 이는 사찰이 불교문화의 전파와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불경 출판과 책판 제작 과정은 조선 시대의 불교와 유학 간의 상호작용과 융합을 보여주는 통찰을 제공한다. 사찰에서는 책판을 판각할 수 있었고, 한지를 생산하여 고품질의 불서를 출판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한지 생산이 사찰에 대한 과중한 부담이 되어 사찰이 텅텅 비게 되는 상황이 될 지경이 이르렀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전통 사찰들은 조선시대 출판문화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찰에서의 불서 간행은 단순히 경전을 출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역 사회의 지식 보존과 전파에 기여했으며, 동시에 조선 시대 불교와 유교 문화가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서 이루어진 불서 간행 활동은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오늘날까지 이어
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를 비롯해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18', '삼봉선생집 권7'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達城 瑜伽寺 靈山會 掛佛圖)'는 1993년 도난됐다가 2020년 환수한 유물로, 화기(畫記)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84년이라는 제작 연대와 영산회라는 주제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도난 과정에서 화기 일부가 훼손되어 이 불화를 그린 승려들은 알 수 없지만 머리와 얼굴의 형태, 신체의 비례와 표현 감각, 각 도상의 배치와 곳곳에 사용된 다양한 문양 소재 등으로 볼 때 18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유성(有城) 화파(畫派)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이 괘불도는 석가여래를 압도적으로 크게 그리고,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을 화면 상단에 작게 배치한 삼신불 형식을 띠고 있다. 서산 개심사 영산회 괘불도(1772년)에서도 이와 같은 구도가 확인되지만 본존이 앉아 있는 형태인 좌상(坐像)으로 표현된 괘불은 이 작품이 유일하다. 이 시기의 괘불이 10m를 넘거나 이에 조금 못 미치는 것이 대부분인데 반해, 이 괘불은 폭
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고창군은 ‘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이 12월 27일자로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고시됐다고 밝혔다.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제작연대(조선 영조 31년, 1755년), 제작자(상정 외), 제작배경, 불상을 모신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조성발원문이 남아 있고, 뛰어난 조각 양식 등 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8세기 불교조각 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받았다. 석가여래좌상은 58.5cm 정도의 크기의 작은 크기로, 무릎 폭과 상체의 조화가 잘 이루어졌고, 특히 이목구비와 손, 옷 주름 등에서 뛰어난 상정(尙淨) 작품의 특징이 잘 표현됐다. 복장유물은 ‘발원문’과 ‘황초복자’라는 보자기로 감싼 ‘후령통(候鈴筒)’ 및 필사본과 목판본의 ‘다라니’, 세 종류의 ‘법화경’ 등 전적류 28책 등이다. 나윤옥 고창군 문화예술과장은 “올해 고창 문수사는 이번 도유형문화유산 지정과 함께 지난 7월 ‘고창 문수사 대웅전’이 보물로 승격되어 국가지정유산 4점(보물 3, 천연기념물 1) 및 도지정유산 4점 등 다수의 국가유산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더욱 더 국가유산에 대해 체계적인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
경북대학교 출판부(부장 신영호)는 지난 2024년 12월 18일까지 고려 시대의 기록 문화 등을 조명하는 ‘한국 인쇄 출판문화사 관련 주요 기록물 및 문화재 전시회’를 진행했다. 이번 전시는 경북대의 남권희 명예교수가 한국 인쇄 출판문화와 관련된 유물 88종 196점을 기증한 것에 대한 기념행사로 이루어졌다. 전시회에서는 남권희 교수가 기증한 유물 일부와 함께 현재 보물로 지정된 선종영가집을 포함해 13세기 초 고려의 금속 활자인 증도가자, 고려 시대의 대방광불화엄경 권 22, 14세기 은니사경 절첩본 대방광불화엄경 등을 포함한 250종 이상의 고서와 고문서가 전시되었다. 더불어 출판문화의 비교를 위해 서양의 고서와 고문서도 함께 선보였다. 2024년 12월 13일에는 고려 목판 1점과 백의관자재보살예참문략해 필사본, 불설팔관재계비밀구생정토심요 필사본 등 고려 불교와 관련된 새로운 기록물에 대한 연구 발표회가 있었다. 이 중 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 목판은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 목판에는 무의자시집의 여덟 페이지가 새겨져 있으며, 그중 일부 내용은 현재 전해지는 무의자시집(1929년 필사본, 동국대 소장)에는 없는 내용이 담겨 있어
지난 2024년 11월 28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서에서 (재)불교문화유산연구소·국가유산청 개최로 ‘대장경판 조판 기술 복원’ 조명 학술대회가 열렸다. 팔만대장경의 전통 조판 기술을 복원하고 계승하기 위해서는 전문 판각 인력인 각수(刻手)의 양성이 필수적이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안준영 이산책판박물관장(현 완판본문화관 관장)은 11월 27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대장경판의 조판기술과 인쇄문화사적 가치’를 주제로 열린 학술대회에서 팔만대장경 조판기술의 복원과 각수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통 판각 기술의 단절을 막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발표 했다. 팔만대장경은 고려시대 고종의 명에 따라 1236년부터 16년에 걸쳐 제작된 불교 경전으로 현재 합천 해인사에 81,258판이 보존되어 있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며 세계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대장경 조판기술을 계승할 전문 인력의 부족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꾸준하게 제기 되어 왔다. 안준영 관장은 발표에서 각수가 단순히 목판에 글자를 새기는 기능인이 아니라 판목 재질 선정, 도구 관리, 조판 디자인 등 여러 분야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고도의 직업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국민의힘 김형동 의원(경북 안동·예천)은 한지문화산업의 진흥 기반을 조성하고, 한지의 세계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한지문화산업의 육성 및 발전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18일 밝혔다. 한지(韓紙)는 닥나무로 만든 대한민국 고유의 종이로서, 내구성과 보존성이 우수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약 1,2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금까지 유지되고, 조선왕조실록, 훈민정음, 난중일기 등 다수의 기록유산들이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고 있는 이유로 많은 전문가들이 한지의 우수성을 꼽는다. 최근에는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서도 문화재 복원을 위해 한지를 사용하면서 세계적으로도 한지의 가치와 그 우수성이 인정받고 있는 추세다. 한지는 전통적 가치 외에도 친환경 인테리어, 인체친화형 섬유와 같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미래형 소재로서도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김 의원이 발의한 법안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한지문화산업의 진흥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고, 한지문화산업의 연구개발 지원 및 전담기관을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 국제협력과 해외진출을 위해 전시회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