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이 암호화폐 시장을 넘어 전통 자산 시장까지 흔들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스테이블코인 서머’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약 2,710억 달러(약 359조 원)에 달하며, 향후 규제 명확화와 신뢰 확보가 이뤄질 경우 본격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결제 수단으로서의 잠재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고서 작성자인 윌 낸스 애널리스트는 현재는 디지털 자산 거래와 역외 달러 수요에 머물고 있지만, 그 가능성은 훨씬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비자(Visa)의 연간 결제액(240조 달러)과 비교되며, 규제를 충족한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네트워크에 편입될 수 있다는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 같은 성장 가능성은 규제 움직임과 맞물려 있습니다. 지난 7월, 미국 의회는 스테이블코인이 반드시 미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에 1:1로 담보되어야 한다는 ‘GENIUS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러한 제도가 달러 강세와 국채 수요를 뒷받침하며,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장기적으로 2조 달러(약 2,650조 원) 규모로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경쟁 구도 역시 뜨겁습니다. 테더(USDT)는 미국 내 확장을 준비 중이며, 써클(Circle)은 규제 준수를 내세워 USD코인(USDC)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 같은 전통 금융사도 자체 달러 토큰 발행을 검토하면서 시장에 가세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 글로벌 전략가 토니 파스콰리엘로는 “금·은·비트코인과 함께 스테이블코인이 새로운 가치 저장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특히 결제 영역에서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흐름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또 다른 전통적 투자 방식이 만들어지는 과정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뜨거운 여름을 뜻하는 ‘서머’라는 표현처럼, 암호화폐 시장의 자금 흐름은 지금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전통 자산 시장까지 달구고 있습니다.
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https://t.me/jung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