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농촌진흥청은 산업체와 협력해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한 생분해성 수지 코팅 완효성 비료 시제품을 개발하고, 비료 사용을 줄이는 깊이거름주기 기술과 연계해 실증시험 중이라고 밝혔다.
완효성 비료는 플라스틱으로 표면을 코팅해 비료가 녹아 나오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비료를 말한다. 비료 주는 횟수를 줄여 노동력을 절감하고 비료 성분 유실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난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코팅돼 사용 후 분해되지 않고 생태계에 남는 단점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누보와 협업해 비료가 녹아 나오는 기간을 30, 60, 90일로 제어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코팅 기술을 적용한 비료를 개발했다.
이와 관련해 국립농업과학원 이승돈 원장은 7월 29일 경기 화성의 현장 실증 농가를 방문해 적용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실증 결과를 확인했다. 이 농가에서는 생분해성 수지 코팅 완효성 비료와 깊이거름주기 융복합 적용으로 작물(벼) 재배와 화학비료 절감 효과를 연구 중이다.
깊이거름주기는 토양 표면에서 25~30cm 깊이에 비료를 주는 기술로 질소질 비료에 의한 암모니아 배출량을 줄여 탄소 중립 실현을 돕고, 비료 이용 효율을 높여 농작물 생산량을 늘린다.
이어 분해성 수지 코팅 완효성 비료 시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누보를 찾은 이 원장은 연구개발 현황을 듣고 실험시설을 둘러봤다.
이 자리에서 “온실가스 저감으로 저탄소 농업을 실현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려면 생분해성 완효성 비료와 이를 농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깊이거름주기 같은 기술의 융복합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농업 구현을 목표로 산업체와 협력해 생분해성 완효성 비료의 상용화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