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서울공예박물관(관장 김수정)이 오는 8월 26일부터 11월 23일까지 전시1동 3층 기획전시실에서 특별기획전 '물질-실천'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버려진 폐기물과 자연물, 도자·유리·금속 등의 공예재료, 디지털 정보기술 개념까지 아우르는 국내외 작가 20명의 작품 92건을 선보인다. 독일, 슬로바이카, 미국, 뉴질랜드 등 해외 작가와 국내 작가가 함께 참여해 전통 재료가 아닌 새로운 ‘물질’로 작품을 만드는 작업세계를 보여준다.
전시는 ▲재의 재구성 ▲원시적 창조 ▲유동하는 물질이라는 세 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첫 번째 ‘재의 재구성’에서는 버려지는 물질들을 예술적 자원으로 전환한 작품들을 만난다. 두 번째 ‘원시적 창조’에서는 자연과 협업하는 작업들을, 세 번 ‘유동하는 물질’에서는 물질과 정보를 대등한 위계로 놓고 실험하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각 주제를 모두 둘러보면 물질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전시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작품은 일상에서 버려지는 물질들을 예술로 탈바꿈시킨 작업들이다. 김시내 작가는 인간의 배설물을 유약으로 활용해 도자기를 제작한 'This is Urine'으로 관람객에게 충격과 함께 환경에 대한 성찰을 던진다. 이우재 작가의 'Paper Bricks'는 폐신문을 벽돌 모양으로 재가공해 실제 건축 소재로 활용한 작품을 선보인다. 해양 쓰레기와 버려진 공병을 활용한 이해선, 박선민 작가의 작품들도 기후 위기에 대한 예술적 해법을 제시한다.
자연과 협업하는 독특한 작업들도 주목할 만 하다. 네덜란드 작가 디아나 셰러는 식물 뿌리를 직물처럼 성장시키고, 슬로바키아 작가 토마스 리베르티니는 꿀벌과 함께 조각 작품을 완성한다. 독일 작가 마르쿠스 카이저는 사막 모래와 태양광만으로 3D 프린팅을 시도하는 등 자연의 힘을 창작 과정에 직접 불러온다.
첨단 기술과 전통 공예의 만남도 흥미롭다. 국내 작가 그룹 ‘알오에스(ROS)’는 전국의 흙 정보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도자 소재를 실험하고, 정진원·안성모는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도자기 조각의 정보를 디지털로 분석해 과거의 도자기를 현대 기술로 복원한다.
이번 '물질-실천' 전시는 시민 참여 프로그램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매월 1회씩 참여 작가들이 직접 자신의 창작 과정을 설명하는 ‘작가와의 대화’가 열리고, 매월 첫째 주 금요일 밤에는 서울시 야간문화 프로그램 ‘문화로 야금야금(夜金)’과 연계하여, 이번 전시를 기획한 황혜림 학예사가 진행하는 전시 해설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전시는 서울공예박물관 전시1동 3층 기획전시실에서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자세한 프로그램 정보는 서울공예박물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이번 현대공예 특별기획전 《물질-실천》은 환경 위기와 자원의 고갈, 기술 의존의 심화로 상징되는 물질문명의 위기 속에서, 물질과 기술이 서로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지속가능한 제작문화를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민들이 국내외 작가들의 창의적 실험을 통해 물질의 목소리를 듣고, 그 가능성을 직접 체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