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종로구가 ‘종로형 신속 정비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주거환경 개선과 재산권 보호에 대한 주민 바람을 현실화하고 있다.
현재 총 31개 정비구역에서 19,360세대 규모의 재개발 사업을 안정적으로 시작한 상태다.
대표적 사업지인 창신동 23번지(64,822.4㎡)는 서울에서 경사도가 20%에 육박하는 저층 노후 주거지였다. 이곳은 주민 76.3%의 동의를 얻어 지난해 12월 주택정비형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으며, 올해 12월 조합설립인가와 2026년 상반기 통합심의를 앞두고 있다. 지상 최고 28층, 총 1,038세대 규모의 신규 주택 공급으로 주거 불안 해소와 인근 상권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숭인동 56번지(42,402.3㎡)도 70%의 주민 동의를 받아 2024년 12월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으며, 올해 12월까지 사업 시행 방식을 결정할 예정이다. 정비가 완료되면 낡고 불편했던 주택들이 지상 최고 26층, 974세대 규모의 현대적이고 안전한 주거 단지로 탈바꿈한다.
두 사업은 주민의 적극적 참여로 이뤄진 만큼, 투명한 재개발 절차와 재산권 보호의 긍정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신규 주택 공급과 채석장 부지 공원화, 지하 현대식 복합 청소시설 조성 계획을 포함해 약 210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기대되며, 지속 가능성과 공공성을 갖춘 재개발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4년 11월 신속통합기획이 확정된 창신동 23-606번지(143,148.7㎡)와 629번지(92,190.8㎡) 일대에는 지상 최고 29층, 4,542세대 규모의 주택단지가 들어선다. 원지형에 순응한 테라스형 단지, 한양도성 경관과 어우러지는 스카이라인, 낙산-동대문 보행축 연계 등 도시경관과 생활환경을 모두 고려해 세심하게 설계된다.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과 지역 가치 상승은 물론, 대규모 주택 공급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기대된다. 빠르면 올해 10월경 정비구역 결정·지정 고시를 거쳐 내년 상반기 사업 시행 방식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종로구는 신문로 2-12에서 지상 27층, 176세대 규모의 도시정비형 재개발을 추진한다. 지난해 12월 서울시 심의를 통과했고 내년 상반기 시공사 선정에 들어가 하반기 통합심의를 신청한다. 행촌동 210-2 일대 역시 오는 11월 신속통합기획 후보지로 재추천해 지상 최고 20층, 1500세대 주택 공급을 추진한다.
정문헌 구청장은 “지난 3년간 자연환경과 국가유산을 보존하는 한편, 고도지구 높이관리 기준과 자연경관지구 건축 제한 등으로 인한 주거지 노후화와 불균형 발전 문제 해결에 집중해 왔다”라며 “앞으로도 주민 참여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과 주거환경 개선에 힘쓰고 재산권 행사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