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는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중앙계약시장 사업자 선정을 위해 도내 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며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고 22일 밝혔다.
전북도는 이날 도청 중회의실에서 한국전력공사, 전북개발공사, 새만금개발공사, 한국서부발전 등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희망하는 기업 관계자 20여 명과 함께 간담회를 개최하고,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
최근 호남권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전력계통의 포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장주기 ESS 설치를 통한 계통 안정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ESS 중앙계약시장 경쟁입찰 제도’를 도입하고, 민간사업자가 장주기 BESS(Battery ESS)를 설치하면 전력거래소가 방전·발전량에 따라 20년간 충전비를 정산해 지급하는 구조를 마련했다.
그러나 올해 1차 공모(총 540MW 규모)에서는 평가 항목 중 ‘출력제어 횟수’의 비중이 과도하게 적용되면서 대부분의 사업이 전남 지역에 집중되는 등 전북 지역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에 놓였다.
이에 전북도는 도내 변전소 연계 ESS 사업자 선정을 위한 맞춤형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공모 신청 과정에서의 애로사항 및 제도 개선 요구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이번 간담회를 마련한 것이다.
간담회에서는 ▲도내 변전소 현황 및 입지전략, ▲공모 시 애로사항, ▲제도개선 건의사항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전북도는 이날 제기된 의견들을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력거래소에 공식 전달해 제도 개선을 적극 건의할 계획이다.
신원식 전북특별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도내 기관·기업 간 유기적인 협력 기반을 다지는 한편, ESS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전북이 불리하지 않도록 다방면의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