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임승식)는 11월 27일 농업기술원 소관 2025년 제3회 추가경정예산 및 2026년 본예산에 대한 심사를 실시하고, 농촌 인력난 해소와 기후대응 연구 확대 등 농정 현안에 대한 실질적 대안을 주문했다.
임승식 위원장(정읍1)은 “농업기술원은 현장 농업인에게 가장 가까운 연구기관인 만큼, 행정기관과 차별화된 실질적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논콩 수급조절과 관련된 기술지원, 이상기후 대응 작물 개발, 인력난 해소를 위한 자동화·기계화 기술 실증 연구 등에 보다 역점을 둘 것을 요청했다. 특히 “행정과 유사한 기능보다는, 차별화된 전문성을 갖춘 농업 R&D의 컨트롤타워가 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권요안 부위원장(완주2)은 농작업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기술 보급 필요성을 강조하며, “작업환경 개선과 안전장비 개발·보급 연구가 더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농촌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생력화 기술 실증과 전파에 농업기술원이 더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주영은 의원(전주12)은 농업기술원의 청년농·귀농귀촌인을 위한 교육과 컨설팅 기능 강화를 요청했다. 국 의원은 “기술보급 사업이 기존 농가 중심으로 운영되는 한계가 있다”며, “귀농 초기부터 안정적 정착이 가능하도록 실습 중심의 교육과 멘토링 프로그램이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정수 의원(익산2)은 도내 농업연구 인프라가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권역별 균형 있는 연구 기반 확보와 시험포 분산 운영 등을 통해 기술 수요에 보다 촘촘히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연구 결과물이 논문에만 머무르지 않고 농가 현장에 확산되도록 기술이전 전략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오은미 의원(순창)은 예산사업 중 도비 지원 비율이 지나치게 낮거나, 시군 부담이 과도한 사업이 다수 존재함을 지적하며, “시군이 사업 포기를 선택하지 않도록 도비 분담률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여성 농업인이나 고령 농가의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연구개발이 강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현숙 의원(비례)은 농업기술원의 스마트팜 연구사업과 관련하여 “일부 사업이 시범 위주에 그치고 있는 것 같다”며, “실질적으로 농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기술로 연결되기 위해 보다 명확한 성과지표와 검증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정린 의원(남원1)은 농촌 고령화와 기후위기에 대응한 지역 맞춤형 작목 개발과 육종연구 강화를 주문했다. 특히 “남원과 같은 중산간 지역에 적합한 작목 개발과 병해충 대응 연구가 시급하다”며, 농업기술원이 권역별 농업환경을 반영한 연구 과제를 적극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