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뉴스 안정주 기자 | 인천연구원은 2025년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 물류기업의 디지털 전환(DX) 현황과 발전 방안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인천시 물류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를 심층 분석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지역 물류기업 10곳 중 8곳 이상(81.7%)이 체계적인 디지털 전환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설문조사에 응답한 기업 상당수가 디지털 전환을 ‘물류 혁신’ (19.6%)이나 ‘IT 투자’(13.3%)와 같은 전략적 관점보다는 ‘디지털 자동화’ (34.0%)나 ‘스마트 물류’(33.0%) 등 단순 기술 도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했다는 점이다.
이는 디지털 전환을 장기적인 성장 동력 확보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기회로 삼기보다, 당면한 비용 절감 수단으로만 간주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2023년 기준 인천에는 3만 7천여 개의 물류기업이 활동 중이다. 전국적으로 물류기업의 97% 이상이 9인 이하 소규모 사업체인 상황에서, 자금과 인력이 부족한 이들 기업은 디지털 기술 도입에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실제로 디지털 전환을 구체적으로 도입해 운영 중인 기업은 19.3%에 불과했으며, 절반이 넘는 53.8%는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조차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추진 중인 기업들 역시 ‘초기 투자 비용 부담’(27.7%)과 ‘전문 인력 부족’ (13.8%)을 주요 걸림돌로 꼽았으며, 62.8%는 전담 인력이나 부서 없이 업무를 병행하고 있어 체계적인 추진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인천 물류산업의 82.3%를 차지하는 화물운송업은 고령 운전자와 1인 사업자 중심의 영세한 구조로 인해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성이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논의조차 없었던 비율이 50%에 달해,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는 이러한 다층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 보급 중심의 단편적 지원을 넘어, 생태계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DX 인식 제고 및 맞춤형 진단, ▲현장 중심의 단계별 역량 강화, ▲기업 규모를 고려한 재정・금융 지원, ▲공공 주도의 공유 인프라 및 데이터 생태계 조성 등 4대 전략을 제안했다.
인천연구원 강동준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는 인천 물류기업 대다수가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체감하면서도,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인식의 안개’ 속에 갇혀 있음을 보여준다”라며, “특히 비용과 인력 부족이라는 현실적 장벽에 부딪혀 혁신을 주저하는 중소・영세기업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따라서 단편적인 기술 보급을 넘어, 기업 스스로 DX 역량을 진단하고 맞춤형 지원을 받는 ‘인천형 DX 나침반’을 제공하는 것이 시급하며, 장기적으로는 공공이 주도하는 공유형 인프라와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운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켜, 인천 물류 생태계 전체가 동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