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오늘도 문을 열었습니다.
[반오문 인터뷰]
대전 서구 둔산동에서 댕댕과자점을 운영하고 있는 장미 대표를 만나 인터뷰 진행했습니다.

사람처럼 정성껏, 강아지를 위한 수제 간식집 '댕댕과자점’
대전의 강아지 수제 간식 전문점 ‘댕댕과자점’을 운영 중인 장미 대표는, 단순한 반려견 간식 판매를 넘어, 보호자와 반려동물이 함께 건강하고 행복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진짜 음식처럼, 정성 가득한 수제 간식
장미 대표는 대전에서 ‘댕댕과자점’을 운영하며, 강아지를 위한 수제 간식을 직접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대형마트나 펫샵에서 판매되는 공장형 간식이 아닌, 사람 음식처럼 위생적으로 만들고 포장한 제품만을 취급한다.
방부제나 보존제 없이 만든 간식들은 위생을 위해 진공 포장을 기본으로 한다. “간식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도 사람이 먹는 식재료 그대로 사용합니다. 닭고기, 두부, 파프리카, 브로콜리 등 안전한 재료로만 만들죠.”


단순한 판매가 아닌, 보호자와의 ‘상담형 간식 제안’
‘댕댕과자점’이 특별한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장미 대표의 상담 중심 운영 방식이다. 단순히 진열된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반려견의 식성, 건강 상태, 보호자의 선호 등을 꼼꼼히 확인한 뒤 맞춤형으로 간식을 추천한다.
“저는 수의사는 아니지만, 반려견 기호와 보호자님의 선호를 조율해 가장 알맞은 간식을 추천해드려요. 단골 손님들은 간식을 정기적으로 바꾸기도 하고, 새로운 조합을 함께 고민하기도 하죠.”
유기견에 대한 인식도 함께 바꾸고 싶어요
장미 대표는 간식을 판매하며 수많은 보호자와 반려견을 만난다. 밝고 따뜻한 모습들도 있지만, 동시에 유기나 학대와 같은 슬픈 현실도 접한다.
“사지 말고 입양하셨으면 좋겠어요. 강아지에 대한 인식이 좀 더 긍정적으로 바뀌면 좋겠고, 유기견들이 줄어들기를 바랍니다. 우리 사회가 반려동물을 ‘생명’으로 대하는 문화가 되었으면 해요.”


까다로운 규제, 잘 알려지지 않은 현실
수제 간식 업종은 보기보다 훨씬 까다롭다. 제품 하나를 만들기 위해 구청 신고, 품목 검사, 정기 검수가 필수다. 검사비용도 만만치 않고, 6개월마다 반복되는 검사는 자영업자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 된다.
“많이 팔아도 많이 남는 장사는 아니에요. 그런데 소비자들은 단순히 비싸다고 오해하시기도 하죠. 정책적인 규제도 현실에 맞게 조금은 완화되면 좋겠어요. 그래야 더 건강하고 다양한 간식들을 반려견에게 줄 수 있을 테니까요.”
소소한 꿈, 하지만 단단한 목표
장미 대표는 소박한 꿈을 품고 있다. “그냥 소소하게, 행복하게 오래오래 이 일을 하고 싶어요. 우리 강아지들이 어릴 때부터 노령견이 될 때까지 꾸준히 찾을 수 있는 간식집으로 남고 싶습니다.”


댕댕과자점 장미 대표님의 이야기는 단순한 간식 판매를 넘어, 반려견과 보호자의 삶에 진심으로 다가서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철저한 위생, 맞춤형 상담, 그리고 유기견 문제에 대한 사회적 메시지까지 담고 있는 이 공간은, 그야말로 ‘강아지를 위한 진짜 음식점’이라 부르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정안뉴스 최진호 기자 |